엘라스틱서치
Elasticsearch 테이블 생성 (Feat.wonya)
먼저 엘라스틱의 개념을 알아볼게요~ 검색하면 마니 나오니 다른것도 참고해 보세요. 한눈에 볼수 있는 표가 있어 퍼봤습니다. 출처: https://www.slideshare.net/deview/2d1elasticsearch RDB 에서는 DB를 -> 엘라스틱에서는 인덱스(색인) 이라고 합니다. 허나 RDB 와 엘라스틱은 염연히 차이가 있기에 완벽히 매칭되어 생각하지 말길 바란다. 개인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DB + Table -> Index 라는 생각이 든다. 실습이 역시 짱이쥬? 바로 test 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생성해보겠습니다. 위와 같은 순서로 해보시면 true 라 뜨시고 확인은 test 테이블을 검색해보는 겁니다. total 갯수가 0 으로 표시되네요 아직 데이터가 아무것도 없어서 ㅇㅅㅇ PUT, ..
window 환경 elasticsearch 셋팅 (Feat.wonya)
https://www.elastic.co/kr/start Get Started with Elasticsearch, Kibana, and the Elastic Stack | Elastic Activate additional features Optional: Unlock Platinum features such as machine learning, security, alerting, graph analytics, and more with a free, 30-day trial. www.elastic.co 위 에 접속하시면 최신 버전의 엘라스틱 + 키바나를 다운 받을수 있습니다. 윈도우로 테스트를 위해서 윈도우에 먼저 세팅 하고 나중에 리눅스를 할려고 합니다. 엘라스틱 : 검색엔진 키바나 : 엘라스틱 정보들을 ..
elasticsearch 시작하며 (Feat.wonya)
커뮤니티를 만들고 싶어 검색엔진으로 엘라스틱을 사용해 보려고 이 글을 남깁니다. 엘라스틱서치는 전 회사에서 한번 써봤었는데 그때는 2버전을 썼었는데 기억을 더듬으로 시작~! 먼저 윈도우 환경에서 셋팅을 하고 테스트가 다 끝나면 리눅스에 적용해보겠당